본문 바로가기

전남대병원

급성심근경색, 그 후... ​ 올해 1월 1일 아침 일찍 아들을 데리고 집을 나섰다. 새해 첫 일출을 보기 위해서다. 무안읍 중심에 떡하니 버티고 선 남산에 오를 참이다. 무안으로 귀농한지 6년이 넘는 동안 바쁘다는 이유로 남산에는 딱 한 번 올랐을 뿐이다. 남산은 높이가 약 150여미터 정도에 불과한 낮은 산이지만 꼭대기에 팔각정이 있고 그나마 산이없는 무안에서 아침 운동을 겸해 오르기에 부담이 없는 산이다. 내가 새해 첫날부터 산에 오르기로 마음 먹은 또 하나의 이유는 내 심장을 테스트 하기 위해서였다. 나는 지난해 11월 22일 급성심근경색으로 전남대병원 응급실에 입원하여 다음날 관상동맥조형술로 우측 손목혈관을 통해 막힌 심장혈관을 뚫는 시술을 한 바 있다. 시술하기 약 한 달 전부터 가슴의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는데 당시에는.. 더보기
협심증 시술 오전 내내 응급실에 누워 있으려니 좀이 쑤신다. 침대에서 내려와 보호자용 프라스틱 보조의자에 내가 앉고 힘들어하는 아내를 침대에 눕게 했다. 사실 가슴통증이 올 때를 제외하고는 아픈데가 없으니 다른 응급환자들 처럼 침대에 누워만 있기가 너무 지루했다. 어제부터 병실이 없어서 응급실의 하루를 고스란히 체험하는 중이라 남들은 생사를 넘나들고 있던 그 시각에도 나는 배고픈 생각만 했다. 어제 점심부터 금식하라는 지시 때문에 24시간 넘게 물 한 모금 넘기지 못했으니 오죽이나 배가 고팠다. 이런 상태로 침대에 누워 있자니 뱃가죽이 자꾸만 등에 붙으려해 오히려 앉아 있는게 편했다. 그동안 내 주위의 응급환자들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집중치료실이나 수술실, 또는 병실을 찾아 떠나고 또 다시 그 자리를 다른 환자들이 .. 더보기
응급실에서 억지로 잠을 청했다. 하지만 눈만 감은 것이지 잠이 든 것은 아니다. 눈이 부셔서 눈을 옷으로 덮었지만 잠이 오진 않았다. 일반 응급실 환자용침대보다 폭이 약간 좁고 높이도 높아 불편한 응급구조용 이동침대를 배정받은 탓도 있다. 병실이 없어 오늘밤을 꼬박 응급실에서 새우게 되었다. 내일의 시술을 위해 잠시 뒤척이며 잠을 청해본다. 사방에서 들리는 심장박동기 소리와 경보음, 심음소리와 등두드리는 소리. 그나마 울며 보채던 아이는 잠들었는지 조용하다. 그런데 감자기 주위가 소란스럽다. 서로 밀치고 몸싸움하는 소리가 험악해진다. 스트레스를 받은 탓에 갑자기 심장이 뻑뻑해진다. 심장을 짖누르는 듯한 통증이 오기시작하자 도저히 누워있을 수 없는 상태다. 겨우 침대에서 일어나 앉아 숨을 고르며 통증이 가라앉길 기다.. 더보기
협심증에 걸리다. 오늘밤은 전남대병원 응급실에서 지내게 생겼다. 협심증으로 내일 오전 혈관조형술을 통해 심장혈관에 스탠트 삽입을 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새우양식장 토목공사를 마무리하던 지난달 말부터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차는 일이 생겼다. 약간만 힘든 일을 해도 가슴이 미어지듯 아프고 숨이차면서 식은땀까지나는 일이 수차례 반복되었다. 그래서 11월 초에 그동안 미루었던 건강보험공단의 정기검진을 받으러 무안병원에 갔다. 혈압을 재니 127 / 70인데 맥박이 86 이나 된다. 그동안 내 맥박은 간호사들도 의아해할 정도로 낮은 50대 중반 이었다. 낮을때는 51, 높아야 67정도가 최고였다. 내가 나의 혈압과 맥박 수치를 잘 아는 것은 정기적으로 헌혈을 해 온 덕분이다. 참고로 나는 지난 11월 16일 138번째 헌혈을 한 장.. 더보기